출처=미국 법무부 유튜브 캡처
출처=미국 법무부 유튜브 캡처

“압수한 비트코인은 비트파이넥스에 돌려줄까?”

“자금세탁 혐의로 체포된 공범  부부는 해킹도 저질렀나?”

디크립트는 10일(현지시간) “2016년 가상자산 거래소 비트파이넥스 해킹으로 사라진 11만9754 BTC(비트코인)가운데 일부를 세탁하려던 공범을 법무부(DOJ)가 체포했지만 여전히 궁금한 것이 남아 있다”며 의문을 제기하고 답을 찾았다.

법무부는 지난 8일 "뉴욕 맨해튼의 일리야 리히텐슈타인(Ilya Lichtenstein·34)과 헤더 모건(Heather Morgan·31세) 부부를 자금세탁 공모 혐의로 체포하고 이들이 세탁하려던 비트코인 45억달러(약 5조3800억원) 가운데 36억달러(약 4조3000억원) 상당을 압수했다"고 밝혔다.

 

비트코인, 비트파이넥스에 돌려주지 않는다

 

법무부는  그러면 압수한 비트코인을 비트파이넥스에 돌려줄까? 매체는 “그렇지 않다”고 전했다.

법무부는 체포 이후 부부를 기소하며 공개한 공소장(criminal complaint)에서 “압수한 비트코인은 ‘미국 정부 소유’”라고 밝혔다.

매체는 이를 두고 “압수한 비트코인을 어찌 할지 알 수 없지만 비트파이넥스에 돌려주지 않을 거라는 점은 확실하다”며 미국 정부의 예전 비트코인 경매 사례를 근거로 제시했다.

2021년 3월 조달청(US General Services Administration)은 0.7501비트코인을 경매에 부쳐 약 5만3000달러(약 6360만원)를 벌었다. 그러나 그 비트코인을 어떻게 확보했는지는 밝히지 않았다고 한다. 비트파이넥스 사례처럼, 범죄 수익을 되찾아 경매에 부쳤다는 뜻이다.

2020년 2월 연방정부는 여러 소송으로 확보한 4000비트코인(약 3700만달러·약 444억원)을 팔았다. 2014년엔 폐쇄된 다크웹 거래소, 실크로드에서 압수한 3만비트코인(약 1900만달러·약 228억원)을 경매에 부쳤다.

디크립트는 또 "연방정부는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는 범죄 정보를 얻기 위해 다른 범죄 수사로 압수한 비트코인을 현상금으로 사용한다"고 설명했다.

실제 1984년부터 국무부는 미국에 대한 사이버 공격에 가담하는 개인이나 단체에 대한 정보에 대해 최대 1000만달러(약 120억원)를 지불한다. 이를 '정의를 위한 보상(Rewards for Justice)' 프로그램이라 부르는데 보상에는 가상자산도 쓰인다는 뜻이다.

일리야 리히텐슈타인, 헤더 모건 부부. 출처=데일리메일 캡처
일리야 리히텐슈타인, 헤더 모건 부부. 출처=데일리메일 캡처

해킹은 누가 했는지 아직 모른다

 

법무부는 리히텐슈타인과 모건 부부를 자금세탁 공모 혐의로 체포했지만 이들이 아직 비트파이넥스를 직접 해킹했다는 혐의는 받지 않고 있다고 디크립트는 전했다.

법무부는 혐의에 대해 "비트파이넥스 거래 시스템에 침투해 2000건 이상의 불법 거래를 저지르며 자금세탁을 공모했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사용된 2000개의 계정은 법무부가 리히텐슈타인의 클라우드에 저장된 파일을 해독해서 파악했다.

법무부는 "블록체인 분석 결과 거의 모든 주소가 해킹과 직접 연결됐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이 발표는 그러나 부부가 해킹까지 직접 저질렀다는 의문을 풀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다만 체포된 부부 또는 둘 중 한 사람이라도 해커와 관련돼 있을지 모른다는 의문이 제기됐다.

디크립트는 “지금 우리는 그 답을 모르지만 앞으로 법원 재판에서 이 질문과 해답이 등장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제보, 보도자료는 contact@coindeskkorea.com
저작권자 © 코인데스크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