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 출처=한겨레 자료사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출처=한겨레 자료사진

올해 정부가 추진하는 블록체인 시범사업에 총 194억원이 투입된다. 정부는 블록체인 실명확인 수요 증가에 따라 '분산신원인증(DID)' 분야에 집중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는 "블록체인으로 혁신하는 디지털 경제'를 주제로 정책 컨퍼런스를 4일 온라인으로 개최했다.

이날 정부의 올해 블록체인 사업 추진현황을 발표한 박상환 KISA 블록체인진흥단장은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디지털화가 필수로 꼽히면서 블록체인 서비스가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올해 시범사업으로 접수된 55개 과제 중 28개가 DID 관련 서비스"라고 덧붙였다.

출처=KISA
출처=KISA

올해 정부의 블록체인 추진 사업은 크게 ▲시범사업 ▲확산사업 ▲부산 블록체인 특구사업으로 나눠진다.

시범사업에 투입되는 규모는 총 114억원으로 과제당 최대 6억원이 지원된다. 올해 시범사업에서 눈에 띄는 점은 박상환 단장의 말처럼 DID 서비스가 대폭 증가했다. 이 때문에 KISA는 'DID 집중사업'을 선정해 DID 서비스 육성에 나설 계획이다.

이번에 접수된 DID 집중사업의 대표 사례로는 행정안전부의 '모바일 운전면허증', 질병청의 '백신접종 증명서비스', 부산 블록체인 특구의 '비패스' 등이 꼽혔다.

박상환 단장은 "DID는 사용자가 증명 목적에 필요한 정보만을 선택해 제공할 수 있어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할 수 있는 만큼 KISA는 기술 표준화와 민간 영역 도입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상환 단장은 "질병청의 백신접종 증명서비스는 DID 기술 없이 블록체인에 디지털 백신 접종 증명서를 해시값만 올리고 QR코드로 검증하는 방식으로 전자서명과 암호화 기술이 없어 복제나 위변조에 취약하다"며 "KISA는 DID 기술을 활용한 백신접종 증명서비스 제공을 위해 질병청과 협의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시범사업과 함께 진행되는 블록체인 확산사업은 올해 5개 분야에 총 80억원이 투입된다. 현재 선정된 확산사업은 ▲선거관리위원회-온라인 투표 ▲보건복지부-사회복지급여 관리 ▲우정사업본부-우편, 예금 보험 고객 관리 시스템 ▲산업자원통산부-신재생에너지 거래 ▲민간-기부 플랫폼 등이다.

또한 KISA는 시범사업과 함께 탈중앙화 디지털 혁신금융, 일명 '디파이(Defi)' 생태계 구축에도 나설 계획이다.

우선 전국에 블록체인· 핀테크 기술확산센터 5곳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디지털화폐 시험 유통·결제, 지역화폐와 디지털화폐 연동 테스트, 스마트계약 코드 보안 감사, 블록체인 전문인력 양성에 나설 계획이다.

박상환 단장은 "블록체인은 데이터 신뢰를 기반으로 디지털 경제를 선도할 4차산업혁명의 핵심 인프라"라며 "KISA는 새로운 블록체인 활용법을 찾기 위해서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KISA는 올해 초부터 DID연합체(SK텔레콤, 아이콘루프, 코인플러그, 라온시큐어), 메디블록 등 민간 기업과 DID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코로나19 백신여권' 사업을 추진해 왔다.

하지만 질병청이 블록체인랩스의 기술 지원을 받아 단독으로 백신접종 증명서비스를 개발함에 따라, 민간주도가 아닌 정부주도의 코로나19 백신여권 서비스가 추진되고 있다.

관련기사

제보, 보도자료는 contact@coindeskkorea.com
저작권자 © 코인데스크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