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에서 열린 ‘2019 라이트닝 콘퍼런스’에 참석한 라이트닝 랩스의 공동설립자 올라올루와 오순토쿤. 출처=라이트닝 랩스
베를린에서 열린 ‘2019 라이트닝 콘퍼런스’에 참석한 라이트닝 랩스의 공동설립자 올라올루와 오순토쿤. 출처=라이트닝 랩스

비트코인을 써보고 싶은 사람들은 많은데 정작 쓸 데가 없다는 것이 비트코인 결제 시장의 문제다.

지난달 30일 실리콘밸리의 비트코인 스타트업 라이트닝랩스(Lightning Labs)는 기업들이 구독료 등 비트코인 소액 결제를 쉽게 자동화할 수 있게 하는 새로운 표준을 발표했다.

라이트닝랩스의 엔지니어 올리버 구거는 ‘LSAT’ 표준안을 설명하면서 “우리는 이 제품을 (라이트닝네트워크의 결제 서비스인) 루프(Loop) 서비스에 활용할 예정이며 이미 생산에 돌입했다. 아직 완성 단계는 아니고, 얼마 전 프로토콜을 제안한 상태”라고 말했다.

오픈소스 기능인 LSAT는 타임스탬프 서비스 제공업체인 티어론(Tieron)에서 이미 사용하고 있다. 구거는 라이트닝랩스가 암호화폐로 결제할 수 있는 유료 콘텐츠부터 기록 관리 및 저장 같은 백엔드 기능까지 고객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서비스를 접목해 업계 표준을 만들어나가겠다고 말했다.

구거는 이러한 표준이 비트코인 결제를 시작하려는 일반 기업들에 도움이 될 수 있다면서, “우리가 본보기가 되어 기존에 통일성 없이 흩어져 있는 프로토콜들을 상호 호환 가능하게 만들면 좋겠다”고 말했다. 라이트닝 랩스가 구체적으로 어떤 서비스를 출시할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그 이유는 현재 수요가 주로 암호화폐 스타트업의 리서치에 편중돼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용자를 모아라

LSAT에 어떤 수요가 생길지, 아니 수요 자체가 있을 수 있는지는 더 두고 봐야 알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플랫폼에 해당 플랫폼 전용으로 암호화폐 결제 시스템을 통합시키는 작업은 이미 기술적으로 가능한 상태다.

티어론의 엔지니어 벅 펄리는 볼트월(Boltwall)이라는 관련 오픈소스 라이트닝 툴을 개발했는데, 이론상으로는 이 툴로 유료 콘텐츠의 결제를 비트코인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펄리는 지금껏 그런 기능을 요청한 고객은 없었으며, 대부분 라이트닝 기능을 활용해 타임스탬프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품인 체인포인트(Chainpoint)를 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체인포인트를 고객이라 할 수는 없겠지만, 이런 종류의 툴을 원하는 수요가 있었다. 볼트월은 LSAT나 라이트닝을 활용해 콘텐츠를 더 쉽게 유료화할 수 있도록 했다. 개인적으로는 많은 플랫폼이 의지하는 구독료 모델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속할 수 있지 않다고 생각한다. 여러 언론사를 비롯한 콘텐츠 플랫폼을 따로따로 수십 개씩 유료로 구독해야 하는 건 분명 문제가 있다.” -벅 펄리, 티어온 엔지니어

라이트닝 네트워크를 접목한 얄스(Yalls)라는 이름의 실험은 지난 2년간 디지털 콘텐츠 이용료를 비트코인으로 받으려는 플랫폼을 위해 여러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실험을 진행했다. 소프트웨어 가운데는 유료 서비스도 있고, 무료 소프트웨어 툴도 있었다. 그러나 현재까지 암호화폐 결제를 실험해본 사이트들은 포브스(Forbes) 등 몇 군데에 불과하다.

코인데스크도 4년 전쯤 암호화폐로 결제를 받아보는 실험을 한 적이 있다. 비공식 데이터 사이트인 BAT그로스(BATGrowth)에 따르면, 지금까지 가장 널리 쓰이는 암호화폐 결제 옵션인 브레이브(Brave)의 BAT(Basic Attention Tokens)를 간접적으로 받는 매체 수가 현재 47025곳에 이른다. 하지만 적어도 코인데스크의 경험만 놓고 보면 암호화폐 결제 서비스를 통해서 모인 수익은 미미한 수준이었다.

코인데스크의 제이콥 도넬리 상무이사는 올해 1월 기준 독자들이 결제한 BAT가 총 19213개로, 달러로 환산하면 3천 달러에 조금 못 미치는 액수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아직 브레이브의 지갑 제공 업체인 업홀드(Uphold)와 기업 신원증명 절차를 마무리하지 못한 상태라 해당 자금을 코인데스크에서 관리하지 못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유료화 실험

아직 많지는 않지만, 몇몇 관련 프로젝트들이 LSAT 이외의 방식으로 암호화폐를 활용한 유료화 실험을 하고 있다.

포브스는 암호화폐 스타트업 언락(Unlock)의 구독 서비스를 통해 광고를 원치 않는 독자들에게 이더(ETH)로 결제를 받는다. 프리랜서 언론인 카밀라 루소는 이더리움(Ethereum) 관련 뉴스레터를 발행하면서 언락을 통해 스테이블코인 다이(Dai)를 받고 있다. 그는 유료 구독자의 약 40%가 이런 방식으로 결제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더리움 이용자들 다수는 여전히 신용카드나 체크카드 결제를 선호한다는 것이다.

“콘텐츠 게시를 위해 아직도 서브스택(Substack)을 사용하고 있다. 언락에서는 콘텐츠를 게시할 수 있는 실제 인프라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현재로선 서브스택과 패트리온(Patreon)에서 제안하는 가치가 좀 차별화된다고 할 수 있다.” -카밀라 루소, 프리랜서 언론인

컨센시스(ConsenSys)의 시빌(Civil) 프로젝트를 비롯해 현재까지 진행된 암호화폐 결제 실험들을 보면 구독료만으로는 서비스를 지속할 수 없다는 점이 명백하다 (시빌의 CEO 매튜 아일즈는 아직 실험 결과를 공개할 준비가 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다른 암호화폐 결제 툴은 미디어 업계에서 수요를 찾기조차 힘든 실정이다.

일례로 마이크로페이(MicroPay)를 개발한 익명의 유럽 엔지니어는 자신이 개발한 라이트닝 툴을 규제 장벽에 부딪혀 하루 만에 오프라인으로 내려야 했다고 말한다. 그는 마이크로페이로 유료화 장벽을 피해 콘텐츠를 다운받은 다음 자신의 개인 노드로 몇십 원 정도 되는 소량의 비트코인을 받고 PDF 파일을 전송했다. 그는 현재 정식으로 서비스를 구독하는 유료 회원이 되거나 개인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한 달에 최대 2~3개의 기사만 읽고 싶어 하는 독자들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서 자신의 제품을 사용할 매체들을 찾고 있다.

그는 “마이크로페이는 콘텐츠 유료화뿐 아니라 다른 목적으로도 쓰일 수 있다. 소액 결제를 원하는 모든 서비스에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초창기

이런 암호화폐 결제 툴이 아직 시장에서 적합한 수요를 찾지 못하고 있는 것은 매체의 고객들을 끌어들이지 못했기 때문이다.

언락의 CEO 줄리엔 제네스토는 매체들이 뉴스레터 발송과 이벤트 티켓 판매뿐 아니라 고객과의 접점을 찾고자 독자들의 이메일 주소와 개인정보를 원한다고 말했다.

“브라우저의 암호화폐 지갑이 곧 이용자의 신원정보가 되는 셈이다. 유료화 서비스에 결제하는 것을 일종의 회원 가입이라고 본다면, 내가 언락의 대체불가능토큰(NFT)을 누군가에게 전송하면 그 토큰을 받은 사람이 회원이 되고 이제 나는 더는 회원이 아니다.”-줄리엔 제네스토, 언락 CEO

이렇듯 멤버십이 유동적으로 움직이면 전통 매체들로서는 이를 활용한 수익을 창출해내기가 쉽지 않다. 그리고 매체들에 결제 툴을 무료 제공해준다고 하지만 실제로 해당 화폐를 사용하려는 사람이 거의 없는 상황에서 이를 반기는 곳은 거의 없다. 암호화폐로 결제를 받으면 규제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는 점을 염려하는 이들도 있다고 제네스토는 말했다.

반면, 하드타임즈(Hard Times)의 CEO 맷 새인컴처럼 개성이 강한 매체를 운영하는 발행인들은 암호화폐에 대한 전문지식 없이도 결제를 받을 수 있는 툴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새인컴이 대표로 있는 온라인 풍자 사이트는 리플(Ripple)의 전 CTO 스테판 토마스가 개발한 인브라우저 앱인 코일(Coil)을 사용하고 있다. 이용자들이 본인의 코일 계정에 암호화폐나 신용카드로 몇 달러 정도를 결제해놓으면 하드타임즈의 콘텐츠를 광고 없이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독점 콘텐츠도 볼 수가 있다.

“암호화폐 결제 툴을 점점 더 많이 활용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이 방법을 시도해본다고 해서 광고 수익이 줄어드는 게 아니어서 좋다. 그리고 이용자들이 구독료를 XRP로 내더라도 이를 달러로 바꿀 수 있다.” -맷 새인컴, 하드타임즈 CEO

새인컴은 코일이 아직은 자사의 주요 수입원은 아니지만, 암호화폐가 널리 통용되면 상황이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유튜브 초창기부터 유튜버로 활동했으면 좋았겠다고 생각하는데, 지금 코일을 사용하면서 같은 생각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일부 암호화폐 지지자들은 매체의 구독자가 되기보다는 독자적인 채널을 개설하는 데 더 관심이 크다.

비트코인SV의 개발자 브래드 재스퍼는 본인이 직접 개발하고 지난 1월 서비스를 시작한 비공개 베타 블로깅 플랫폼 Bit.sv에 100개 정도의 이용자 계정을 보유하고 있다. 그는 최소 1천 명 이상의 암호화폐 지지자들이 대기 명단에 있다고 밝혔다. Bit.sv에서 콘텐츠 제작자들은 BSV로만 사용료를 받지만, 플랫폼 이용자들은 비트코인, 라이트코인(LTC), 이더로 결제를 할 수 있다.

텀블러(Tumblr)나 미디엄(Medium) 같은 사이트가 아닌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콘텐츠 제작자들의 독립성이 증대되는 이유를 설명하면서 그는 “클릭 몇 번으로 은행을 움직인다고 상상해보라. 서비스 제공 업체들을 계속 바꾸게 된다면 그와 같은 모습일 것이다. 벤처 투자에 기댄 매체 모델은 더 이상 경쟁력이 없다.” -브래드 재스퍼, 개발자

제보, 보도자료는 contact@coindeskkorea.com
저작권자 © 코인데스크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